청년도약계좌란?
정부 주도로 추진되는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돕기 위한 정책입니다. 생활이나 거주 안정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며, 예산은 3678억원으로 편성되었습니다.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도 부여되며, 청년희망적금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대상은?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려면 만 19세 ~ 34세의 근로 또는 사업 소득이 필요합니다. 또한, 총급여 7500만원 이하의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실제 근무 중인 경우에도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하며, 가입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으니 고용보험 가입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청년도약계좌는 취급기관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가입일로부터 1년 주기로 개인소득 현행화를 통해 유지 심사를 받아야 하며, 신청 당시의 소득 조건을 지속하는 경우에만 계좌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은 사업목적이 유사하지만, 기여금 지원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2년 만기 때 최대 36만원의 기여금을 지급하는 반면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최대 2만4000원까지 기여금을 지급합니다. 또한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과는 달리 해마다 편성된 예산으로 집행되며,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자가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기여금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청년희망적금은 최대 36만원의 기여금을 2년 동안만 받을 수 있으며, 그 이후에는 더 이상 기여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또한, 청년도약계좌는 예금으로 운영되며, 이에 따라 정기예금이나 적금과 같은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청년희망적금은 적금으로 운영되며, 이에 따라 예치한 금액에 대해 일정한 이율이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마지막으로,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은 각각의 목적과 대상이 다르기 때문에, 가입자는 자신의 상황과 목표에 따라 적합한 상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대학생이나 취업 준비생 등의 청년층에게 적합하며, 청년희망적금은 창업이나 주택 구입 등의 장기적인 목표를 가진 청년층에게 적합합니다.
'생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속세율(표)에 대해 알아 봅시다. (0) | 2023.04.03 |
---|---|
제주페이 탐나는전 할인받고 제주 여행하기 (0) | 2023.04.03 |
2023년 실업급여 신청 방법, 변경내용 (0) | 2023.04.03 |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발급 방법과 바로가기 (0) | 2023.04.03 |
문화상품권, 네이버페이로 전환해서 활용 하기 (0) | 2023.04.02 |